하느님의 자비 주일이란 하느님 자비가 절실한 시대, 2001년 부활 제2주일로 제정 자비의 특별 희년을 지내고 있는 교회는 3일 하느님의 자비 주일을 맞는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2000년 4월 30일 ‘하느님 자비의 사도’로 불린 마리아 파우스티나(1905~1938) 수녀를 새 천년기 첫 성인으로 선포하면서 이 시대가.. 교회성사교리 2016.04.03
제의, 예수의 멍에와 애덕의 상징인 ‘사랑의 옷’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제의, 영원한 사랑·순결의 옷」 지상 전시 제의는 사제가 미사 집전할 때 가장 겉에 입는 옷이다. 사제는 제의를 입을 때 “주님, 주님께서는 ‘정녕 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라고 하셨으니, 제가 주님의 은총을 입어 이 짐을 잘 지고 가게 하소서.. 교회성사교리 2016.03.31
전례를 알면 성대하고 모르면 지루한 부활 대축일 성야 미사 ▲ 지난해 서울 명동대성당에서 봉헌된 예수 부활 대축일 성야 미사에서 염수정 추기경이 불을 축복하고 있다. 평화신문 자료사진 복되고 거룩하여라, 부활에 참여하는 사람!(묵시 20,6 참조). 부활은 가톨릭 신앙의 핵심이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시고, 3일 만에 부활하신 .. 교회성사교리 2016.03.25
[미사풀이] <8> III. 미사의 각 부분 다. 성찬 전례(3) 평화 예식 평화 예식에서 교회는 자신과 인류 가족 전체의 평화 일치를 간청합니다. 신자들은 성체를 모시기에 앞서 교회에서 누리는 일치와 서로의 사랑을 드러냅니다.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방법은 주교회의가 민족의 문화와 관습에 따라 정합니다... 교회성사교리 2016.03.04
미사풀이(7) 그리스도인의 양식, 성찬의 빵 III. 미사의 각 부분 다. 성찬 전례(2) 감사 기도(2) 감사 기도를 이루는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감사송 : 감사송은 말 그대로 감사를 드리는 노래입니다. 사제는 백성 전체의 이름으로 하느님 아버지를 찬양하고 구원 업적 전체에 대해 또는 그날과 .. 교회성사교리 2016.02.26
[미사 풀이] <6> 2000년을 이어온 십자가의 제사 III. 미사의 각 부분 다. 성찬 전례(1) 그리스도께서는 마지막 만찬에서 파스카 제사와 잔치를 제정하시고, 이를 통해 십자가의 제사가 교회 안에서 언제나 지속되게 하셨습니다. “받아라, 먹어라, 마셔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의 잔이다.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 주.. 교회성사교리 2016.02.17
(재의 수요일) 사순시기(사순절(四旬節) 재의 수요일 재의 수요일 오늘은 사순 시기를 시작하는 첫날로, 이 시기는 회개와 참회의 시기이며, 부활을 준비하는 희망의 시기이다. 사제는 오늘부터 회개와 속죄의 상징인 자색 제의를 입는다. 교회가 참회의 상징으로 재를 축복하여 머리에 얹는 예식을 하는 데에서 ’재의 수요일.. 교회성사교리 2016.02.10
미사풀이(5) ▲ 강론은 신자들 신앙을 살찌우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III. 미사의 각 부분 나. 말씀 전례(2) 강론 미사 때 하는 강론은 전례의 한 부분으로서 크게 권장됩니다. 그리스도 신자들의 삶을 살찌우는 데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강론은 그날 미사 전례 때 봉독한 성경의 내용 혹은 그날 .. 교회성사교리 2016.02.04
[미사 풀이] <4> III. 미사의 각 부분 나. 말씀 전례(1) 말씀 전례의 중심 부분은 성경에서 뽑은 독서들과 그 사이의 노래들로 이루어집니다. 강론, 신앙고백, 보편 지향 기도는 이 중심 부분을 더 발전시키고 완결짓습니다. 침묵 말씀 전례는 묵상을 북돋우는 방식으로 거행돼야 합니다. 그래서 마음을 모으.. 교회성사교리 2016.01.28
[미사 풀이] <3> III. 미사의 각 부분 가. 시작 예식 말씀 전례 앞에 오는 예식, 곧 입당에서부터 인사와 참회 예식, 자비송과 대영광송 그리고 본기도까지가 시작 예식입니다. 이 예식은 한데 모인 신자들이 일치를 이루고 하느님 말씀을 올바로 듣고 합당하게 성찬례를 거행하도록 준비하는 데 있습니다. .. 교회성사교리 2016.01.22
미사 풀이(2) II. 미사의 여러 요소 노래의 중요성 바오로 사도는 콜로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에서 시편과 찬미가와 영가를 함께 노래하라고 권고합니다(콜로 3,16 참조). 노래는 마음의 기쁨을 드러내는 표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우구스티노 성인은 “사랑하는 사람이 노래를 부른다”고 말했.. 교회성사교리 2016.01.15
매주 참례하는 미사, 얼마나 알고 계세요? (미사풀이)1. ▲ 미사를 이루는 각 요소와 동작들의 의미를 올바로 이해할 때 능동적 전례 참여가 가능하다. 평화신문 자료사진 매주 참례하는 미사, 얼마나 알고 계세요? 우리는 미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미사는 어떻게 구성돼 있고, 미사를 이루는 각 요소와 동작들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신.. 교회성사교리 2016.01.07
천주교 가정 제례(설,추석 명절)예식 천주교 가정제례 예식 천주교 가정제례 예식 가톨릭 교회는 제사를 금하는 개신교회와 달리 선조를 추모하고 조상에게 효를 실천하는 전통문화로서 제사를 인정하고 있다. 또한 천주교 주교회의는 2012년 ‘한국 천주교 가정 제례 예식’을 승인, 기일 제사나 명절 차례를 지내야 하는 신.. 교회성사교리 2015.09.21
고해성사(성사보는 요령) 고해성사 : (사순절,대림절)<판공성사> 고해성사 하느님은 인간 삶의 여정에 함께 하시면서 인생사의 중대한 순간마다, 그에 필요한 은혜를 베풀어 주시고 한층 성숙한 당신의 자녀로 받아 들이시고 끊임없이 은총을 주십니다. 가톨릭교회는 신자들이 신앙 안에서 성장의 단계마다 .. 교회성사교리 201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