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과 트윗을] (35) 왜 사는걸까요. 우리 행복 바라시는 하느님의 큰 사랑 문 : 행복하기 위해 사는 것 아닐까요. 답 : 맞습니다. 행복하기 위해 사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말하기는 쉬워도 실제로 이루어지기는 어렵습니다. 우리는 하느님이 우리 모두를 위한 계획을 지니고 계시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아.. 교회성사교리 2018.01.22
[하느님과 트윗을] (36) 하느님이 제게 요청하시는 것은 무엇인가요. 주님 따르는 올바른 삶으로 부르심 문 : 예수님은 여전히 부르고 계신가요. 답 : 예수님은 당신을 따르라고 사람들을 여전히 부르십니다. 예수님은 남자든 여자든, 젊은이든 늙은이든, 가난한 이든 부유한 이든, 건강한 이든 아픈 이든 상관하지 않고 부르셨습니다. 어떤 이들에게는 당신.. 교회성사교리 2018.01.21
박해자 회심, 그리스도교의 세계화를 열다.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25일)에 알아보는 바오로 회심 ▲ 박해자 사울은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 하늘에서 내려온 큰 빛에 눈이 멀게 된다. 이후 다마스쿠스에 도착해 하느님의 목소리를 듣고 눈을 다시 뜨게 되면서 바오로 사도로 변신한다. 그림은 파르미자니노 작, ‘성 바오.. 교회성사교리 2018.01.19
[교리상식] 성경 속 물고기. 성경에서 물고기가 나오는 대목이 많죠. 구약성경에서 인간은 바다에 사는 물고기로 비유됩니다. 인상적인 대목은 뭐니뭐니해도 요나 이야기죠. 신약성경에서는 요나가 경험한 사건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마태 12,1-4). 성전에서 솟아나는 기적의 물에 의해 .. 교회성사교리 2018.01.17
[하느님과 트윗을]×(34) 왜 우리는 여기 세상에 있나요. 사랑 나누며 주님과 함께하는 삶이 행복 문 : 우리는 왜 태어났습니까. 답 : 이 세상에서는 하느님을 알고 사랑하고 섬기기 위해서, 그리고 내세에서는 하느님과 영원히 행복하기 위해서 태어났습니다. 우리는 하느님이 우리의 창조주이심을 알아보도록 요청받습니다. 우리의 창조주이신.. 교회성사교리 2018.01.07
[교리 상식] 판공성사. 판공성사는 모든 신자가 부활 대축일과 성탄 대축일을 앞두고 의무적으로 보는, 한국 교회에만 있는 고해성사 제도입니다. 원래 성탄 전 대림 시기와 부활 전 사순 시기에 봐야 하는 게 규정이죠. 하지만 한국 교회는 2015년부터 이러한 제약과 기한을 완화했어요. 주교회의는 총회를 통해.. 교회성사교리 2018.01.04
[교리상식]예수님을 가르키는 이름과 상징. 예수님을 가리키는 이름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예수님을 표시하는 상징들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예수님 이름이 지니는 뜻부터 알아봅시다. '예수'라는 이름은 '주님(야훼)은 구원이시다'라는 뜻을 지닌 히브리 말 '여호슈아'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여호슈아가 줄어서 '.. 교회성사교리 2018.01.02
[하느님과 트윗을] (33) 교회는 왜 혼인과 가정을 강조하나요. 혼인, 서로 충실할 것 약속하는 ‘부르심’ 문 : 혼인과 독신 모두 하느님의 부르심인가요. 답 : 하느님은 “하느님의 모습으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로 그들을 창조”(창세 1,27)하셨습니다. 또 사람이 하느님의 사랑과 그분의 창조에 참여하게 하셨습니다. 그래서 하느님은 사.. 교회성사교리 2017.12.28
[하느님과 트윗을] (32) 교회는 왜 ‘동성 결혼’을 반대하나요. 동성애는 자연법 거스르는 무질서 문 : 동성애자는 하느님의 사랑을 받을 수 없나요. 답 : 2013년 8월 19일 언론 인터뷰에서 기자가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이렇게 질문했습니다. “하느님이 동성애자들을 바라보실 때 그분은 사랑을 담아 그러한 사람의 존재를 인정하실까요? 아니면 거부하.. 교회성사교리 2017.12.23
유래와 의미 알면 더욱 뜻깊은 크리스마스. ▲ 성탄 구유에는 마굿간에서 태어난 아기 예수와 마리아, 요셉, 예수의 탄생 소식을 듣고 달려온 목동, 동방박사 등이 등장한다. 신 나는 캐럴과 오색 찬란한 불빛의 화려한 크리스마스트리가 거리를 수놓는 크리스마스가 돌아왔어요! 모두 ‘메리 크리스마스~’를 외치며 가족, 친구, .. 교회성사교리 2017.12.22
[하느님과 트윗을] (31) 그리스도인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사나요. 십계명 이상으로 사랑과 자비 베풀라 문 :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답 : 그리스도인이 아닌 사람들도 기본적으로 착한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하느님이 우리에게 바라시는 것은 선함만이 아닙니다. 하느님의 계획은 이를 훨씬 넘어섭니다. 하느님은 당신의 백성이 당신에게서.. 교회성사교리 2017.12.17
[하느님과 트윗을] (30) 인간 생명은 언제 시작되나요. 난자 정자가 수정된 순간 생명 시작 문 : 언제부터 인간이라고 부를 수 있나요. 답 : 인간의 생명은 여성의 난자와 남성의 정자가 만나 수정될 때 시작합니다. 현대 과학은 수정하는 순간부터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 DNA에 존재하고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수정 직후의 새로운 인간 존재.. 교회성사교리 2017.12.10
[하느님과 트윗을] (29) 교회는 교회만의 달력이 있나요. 예수님 일생 중 가장 중요한 때를 기념 문 : 전례는 무엇인가요. 답 : 전례는 교회의 공적인 기도를 의미합니다. 공적인 기도를 통해 우리는 다른 신자들과 함께 하느님과 접촉하게 됩니다. 교회의 전례는 누구나 보고 경험할 수 있습니다. 전례 의식과 전례에서 사용되는 말은 성경과 성.. 교회성사교리 2017.12.02
사제나 수도자의 길을 걸으려면?. 신학교나 수도회에 들어가 성소 확인하는 과정 거쳐 ▲ 2월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거행된 서울대교구 사제서품식에서 수품자들이 바닥에 엎드려 가장 낮은 곳에서 주님을 섬길 것을 다짐하고 있다. 가톨릭평화신문 DB 문: 사제나 수도자가 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나요? 답: 일.. 교회성사교리 2017.11.28
교황도 스스로 물러날 수 있나요?. 사퇴 의사·과정 바르게 표시되면 사임 가능 ▲ 베네딕토 16세 전임 교황. [CNS 자료사진] 문: 교황은 종신직으로 알고 있습니다. 교황도 사임할 수 있는지요? 답: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사임할 수 있습니다. 교황 사임에 관한 규정은 교회법전 제332조 2항에 명시돼 있습니다. "혹시라도 교황.. 교회성사교리 2017.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