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진단] ‘공동의 집’과 ‘개인의 집’(김사욱 시몬, 「기후위기와 생태영성」 저자)
몇 년 전 한 대학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후 위기와 패스트 패션’ 관련 설문조사를 했다. 응답자의 70% 이상이 유니클로와 같은 패스트 패션을 쇼핑하는 것은 지구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면서도, 패스트 패션은 유행에 민감하고 저렴한 가격이므로 쇼핑한다고 대답했다. 결국 소비의 유혹은 기후 위기에 대한 관심을 넘어서곤 한다. 지난 2월 15일 날씨의 변화에 대해 방송 기상캐스터들은 “하루 만에 봄에서 겨울로, 널뛰는 날씨에 ‘어리둥절’”이라는 표현을 쓰면서도 원인이 기후 온난화라는 설명은 하지 않았다. 1월 14일 충남 서산의 대산공단 온실가스 첫 관측 결과, 이산화탄소 대기농도가 480ppm이었다. 기상과학연구원은 이를 인위적인 오염원에 의한 배출농도 수준이라고만 설명했다. 전 세계 평균이 480ppm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