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등 종교환경회의, 시위 나서
가톨릭ㆍ개신교ㆍ불교ㆍ원불교ㆍ천도교 등 5대 종단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10일 경북 울진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1호기 가동을 조건부 승인한 데 대해 규탄하고, 철회를 촉구했다.
5대 종단 환경단체가 연대한 종교환경회의(상임대표 이미애)는 15일 서울 종로구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팻말 시위와 함께 ‘국민의 안전보다 핵발전소 가동이 우선인가! 불안한 신한울 1호기 가동 결정 즉각 철회하라!’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종교환경회의는 “신한울 1호기는 문재인 정부에서 2019년 신고리 4호기에 이어 두 번째로 운영 허가를 받은 원자로”라며 “문제는 2건의 운영허가가 모두 ‘조건부’라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원자력안전위는 ‘안전성을 보완할 것으로 믿는다’며 조건부 가동 결정을 했지만, 운영을 시작한 신고리 4호기가 어떤 상태인지 잊었는가”라고 반문하며 “지난 5월 화재로 터빈발전기가 멈춘 사고는 아직도 조사 중”이라고 역설했다. 이어 “핵발전소 사고는 올해에만 벌써 9건에 이른다”며 “국민의 안전과 생명은 뒷전이고, 들인 돈이 아까워 위험한 도박을 하겠단 고백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종교환경회의는 또 “예전부터 신한울 1호기가 안전성 문제를 떠안고 있다고 원안위를 비롯한 많은 시민사회단체에서 지적했다”며 “지난 2월 한국수력원자력 측이 수소제거장치(PAR) 결함에 대해 조직적으로 은폐한 사실도 밝혀졌다”고 말했다. PAR은 핵발전소 내부의 수소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주요 장치로서 후쿠시마 핵사고 이후 도입된 핵심 안전장치다. 종교환경회의는 “이 같은 장치의 치명적인 결함이 발견된 상황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은 조직적인 은폐를 시도했고, 원안위는 안전성 여부 검증을 끝내지 않은 채 신한울 1호기의 운영 허가를 내주었다”며 “핵발전소 운영과 안전의 책임을 저버리고, 핵사고의 위험성을 가중시키는 결정을 내린 셈”이라고 규탄했다.
종교환경회의는 아울러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을 주창한 것이 무색하게 ‘친원전’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6월 23일 열린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김부겸 국무총리가 “이미 완성단계에 있는 원전을 아무 일도 안 하고 그냥 묵히는 문제는 빨리 정리해야 한다. 원자력안전위원장에게 요청하겠다”는 발언에 대한 지적이다.
이학주 기자 goldenmouth@cpbc.co.kr
'사회사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이피어나는곳에] 암투병과 생계 모든 걸 홀로 짊어진 어깨 무거워 (0) | 2021.07.29 |
---|---|
인공지능 강화 및 의료 데이터 통합 안심존 구축 (0) | 2021.07.28 |
시설 직원들에게 ‘교회 정신과 생태영성’ 특별 교육 (0) | 2021.07.28 |
가톨릭의 통큰 투자, 기초의학과 생명 치유에 2000억 (0) | 2021.07.16 |
사회복지 네트워크 강화 위해 ‘한국카리타스협회’ 필요성 제기 (0) | 202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