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사랑

"사랑의 신앙", " 믿음과 진리를 추구하며!" "믿음과 소망과 사랑중에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사회사목

종교환경회의, 남원시에 '지리산 산악열차' 백지화 촉구

참 빛 사랑 2022. 9. 8. 16:25

산악열차 사업 70% 이상이 국립공원 구간... 대규모 토목공사로 생태계 악영향 예상

▲ 종교환경회의와 지리산종교연대, 남원 시민들이 전북 남원시청 앞에서 지리산 산악 열차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종교환경회의 제공
 
 
 

가톨릭ㆍ개신교ㆍ불교ㆍ원불교ㆍ천도교 등 5대 종단 환경단체로 구성된 종교환경회의(상임대표 양재성 목사)는 8월 24일 남원시청 앞에서 지리산종교연대와 함께 성명을 발표하고 “지리산 산악열차 계획을 백지화하라”고 전북 남원시에 촉구했다.
 

종교환경회의는 “산악열차 사업의 70% 이상이 국립공원 구간”이라며 “훼손된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힘을 쏟아도 부족한 기후위기 시대에 돈벌이를 위해 이 공간을 망가뜨리는 것은 지리산뿐 아니라 모든 국립공원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또 “남원시 지리산 산악열차 건설은 정당성이 없는 사업”이라며 “산악열차를 놓는 경로에 있는 고기리 주민들에게 도로는 생명줄과 같다”며 “그런 도로를 폐쇄하고 궤도로 변경하는 것은 엉터리 경제성 평가로 주민들의 교통 기본권을 저해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경남 하동군도 지리산 산악열차 사업을 추진하다 기획재정부 원점 재검토 결정과 민자사업자 포기로 사업을 중단한 적 있다.
 

지리산에는 2020년 12월 31일 현재 반달가슴곰 등 44여 종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포함, 1만 653종의 야생 동식물이 살고 있다. 종교환경회의는 “지리산은 관광이나 유희를 위한 공간이 아니라 생존의 공간”이라며 “산악열차 계획지역은 반달가슴곰이 사는 서식지”라고 지적했다. 이어 “남원시와 철도연은 기존 도로를 대체해 궤도를 건설하는 것이므로 자연환경의 훼손이 없으리라 장담하지만, 산악열차 건설을 위한 대규모 토목공사가 불가피하다”며 “이후 운영 시 발생할 소음 역시 기존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다”고 비판했다.
 

지난 6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에 의해 산악열차 시범사업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남원시는 2026년까지 국비 278억 원을 들여 주천면 고기삼거리에서 고기댐 일원에 1㎞ 시범 노선을 부설하고, 산악차량 3량 1편성을 제작할 계획이다. 남원시 관계자는 “전기 산악열차가 상용화되면 1610억 원의 생산 유발효과와 1128명의 고용 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기존 도로 구간에 레일을 설치하는 방식이라 환경 훼손이 발생하지 않고, 전기배터리로 운행해 오염물질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번 성명 발표는 8월 22~24일 진행된 종교환경회의 ‘2022 종교인 지리산 생명평화순례’ 일환이다. 종교환경회의는 남원시와 지리산 일대에서 ‘지리산 산악열차 백지화’를 촉구하며 기도회와 촛불집회 등을 진행했다. 아울러 지리산종교인연대를 비롯한 지리산 생명평화 운동가들과도 교류했다. 지리산종교연대는 2003년 지리산 권역의 가톨릭ㆍ개신교ㆍ불교ㆍ원불교 종교인이 힘을 모아 결성했다.
 

이학주 기자 goldenmouth@cp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