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lY2me/btsDJh33Ii4/pTEWAMa6KmKUelpYdKGKUK/img.jpg)
매주 화요일 오후 7시 미사 봉헌. 더 많은 이들이 미사에 함께하길
고 김수환 추기경이 1995년 3월 7일 갈라진 한반도의 평화를 염원하며 시작한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미사’가 9일로 1400차를 맞았다.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위원장 정순택 대주교)가 매주 화요일 오후 7시 주교좌명동대성당에서 ‘민족의 화해와 일치’라는 단 하나의 지향으로 30여 년간 이어온 미사의 세월이 이만큼 쌓인 것이다.
이날 1400차 미사를 주례한 구요비 주교는 “김 추기경의 뜻은 상대방을 변화시키자는 게 아니라, 우리에게 용서와 화해와 일치를 이끌어주시도록 기도하자는 것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동시에 우리 자신이 용서와 화해의 도구가 되고, 나아가 이 땅에 모든 이를 사랑으로 일치시키는 평화의 도구로 써 주시도록 기도하자고 이끌었다”고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HJvIf/btsDGrfy1si/zPioAnBklR6Aw918WcuoK1/img.jpg)
구 주교는 “하지만 최근 들려온 남북 당국자들의 말과 행동은 우리를 더 불안하게 하고 있다”며 “전문가들은 올해에도 남북 대립이 심화될 것이고, 갈등이 조정되지 못하면 큰 불행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미사가 29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힘을 통한 대결과 경쟁에 더 익숙해져 있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이 미사에 더 많은 이가 함께하며 한반도 평화를 위해 기도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아울러 “평화의 예언자, 평화의 사도가 될 수 있기를 다 함께 기도하자”고도 당부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a457s/btsDLJeaBjk/GvYF4zyk4CAbAk7jbxZJE0/img.jpg)
미사 후에는 성 프란치스코의 ‘평화를 구하는 기도’를 함께 봉헌했다. 남북 신자들이 같은 지향으로 기도를 바치자는 약속을 이어가는 차원이다. 정수용(서울 민화위 부위원장) 신부는 “평양 장충성당에서 지금도 이 기도가 지속되고 있는지 확인할 순 없지만, 남북 교류가 활발할 당시에 만난 북한 신자들은 계속 이 기도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어 “언젠가 다시 만날 북녘의 형제들에게 같은 지향으로 기도를 해왔다고 말할 수 있을 때, 우리의 만남이 더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각자 일상에서 우리 스스로 평화를 만드는 도구가 되도록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위원회는 앞으로도 매주 같은 지향으로 미사를 쉼 없이 이어갈 계획이다.
박민규 기자 mk@cpbc.co.kr
'교구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청년 복음화의 출발점은 성가정 (0) | 2024.01.21 |
---|---|
시노달리타스 실현 위한 자료집 발간 (0) | 2024.01.21 |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을 응원합니다” (0) | 2024.01.21 |
얼어붙은 남북관계, 생명평화순례로 녹인다 (0) | 2024.01.21 |
교우들이 바라는 참 사제의 모습은… (0)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