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l5YOJ/btsDs4XNyJ8/XmmBDIL01aKfJksiy78JD1/img.jpg)
한국교회사연구소(소장 조한건 신부)가 소장해온 조선 후기 지리지 「여지도서(輿地圖書)」가 국가지정문화유산인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12월 28일 「여지도서」와 겸재 정선의 초기작 「북원수회첩(北園壽會帖)」 등 총 8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여지도서」는 조선 영조 대에 각 군현에서 작성한 자료를 각 도의 감영을 통해 모아 완성한 지리지다. 각 읍지의 호구(戶口)·전결(田結) 등의 내용으로 보아, 1759년(영조 35)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 지리지와 달리 「여지도서」는 각 군현의 읍지 앞에 지도를 첨부했다. 지도는 채색 필사본으로 1면 혹은 2면에 걸쳐 그려져 있다. 경기도와 전라도를 제외한 6개 도의 도별 지도와 영·진 지도 12매, 군현 지도 296매가 포함돼 있다. 군명(郡名)·산천(山川)·성씨(姓氏)·풍속(風俗)·창고(倉庫) 등 38개 항목에 따른 내용이 담겼는데, 「동국여지승람」 등 이전 지리지보다 항목이 확대된 것이다. 또 호구·도로(道路) 등 사회경제적 내용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MdlSz/btsDrCtLdbd/vMi1wnDTxLJsAdUThuo2Sk/img.jpg)
문화재청은 “「여지도서」는 조선 후기 사회경제사와 역사지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서 학술 가치를 지니며, 현존 유일본으로 편찬 당시 55책의 상태가 비교적 온전히 유지되고 있어 희소성과 완전성도 갖추고 있다”고 평했다. 문화재청은 「여지도서」 등 8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유산(보물)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TZqdQ/btsDsWFyB1Y/Y0JB9AEIT91xwp80WpJof0/img.jpg)
「여지도서」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1973년 3월 22일 “서울대교구 삼각지성당 안에 있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서고에서 전질(55책)이 발견됐다”는 언론 보도를 통해서였다. 이때 학계는 「여지도서」가 백두산정계비 위치를 상세히 표시하고, 백두산을 한국 영토로 명기했다는 사실에 큰 관심을 보였다. 백두산정계비는 조선과 청나라 사이 국경을 정하기 위해 백두산 부근에 세운 경계비다. 학계는 또 「여지도서」가 압록강·두만강 일대 성곽 요새를 자세히 기록한 점도 주목했다. 당시 최석우(1922~2009, 초대 한국교회사연구소장) 몬시뇰은 언론 인터뷰에서 “100년 전부터 프랑스 신부들이 포교를 위해 국내 지리를 알고자 수집했던 것을 찾아내 1962년 정리, 보관해뒀다”고 전했다.
이학주 기자 goldenmouth@cpbc.co.kr
'교구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르신에게 식사 대접하고 후원금 전달 (0) | 2024.01.15 |
---|---|
어르신, 파란 눈의 신부님 기억 나세요? (0) | 2024.01.15 |
정치인 피습으로 드러난 혐오와 분열, 이대로 괜찮나 (0) | 2024.01.14 |
「하느님을 찬미하여라」 우리말 번역, 출간 (0) | 2024.01.14 |
“그리스도인, 일치 위한 기도 멈춰선 안 돼” (0)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