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체내의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 간의 불균형이 생기거나, 남성의 유방에서 유선조직의 증식이 일어나 여성의 유방처럼 발달하게 되는 여성형 유방과 비만으로 인해 지방이 축적되어 생기는 가성 여성형 유방이 있습니다.
- 원인
유선 증식의 형태와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환경, 호르몬, 자극의 기간과 강도 및 유방조직 감수성입니다. 성인 남성의 경우 남성호르몬이 여성호르몬보다 약 300배 정도로 많아 유방이 발달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1) 생리적 여성형 유방: 유선조직 증식은 시기적으로 주로 영아, 사춘기와 노년에서 생깁니다.
① 신생아 및 영아: 태아시기에 모체로 부터 받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자극으로 일시적인 유방 팽대를 보일 수 있습니다. 영아의 60~90%에서 발생합니다.
② 사춘기 소년: 사춘기 남성의 30~60%에서 여성형 유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성호르몬 분비가 시작되는 10~12세경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의 비율이 일시적으로 불안정하여 유방이 발달했다가 16~17세경 남성호르몬이 안정적으로 증가하면 대부분 사라집니다.
③ 노인: 노인의 경우 남성호르몬의 분비가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여 50~80세에서 최대 빈도를 나타냅니다.
2) 병적 여성형 유방
① 남성호르몬 감소: 고환염, 칼만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뇌하수체 종양, 안드로겐 내성증후군, 영양 실조 등에 의해 남성호르몬이 부족하여 생깁니다.
② 여성호르몬 증가: 고환암, 사람융모성선선자극호르몬 분비 종양에 의해 고환에서 여성호르몬 생성이 증가하거나, 부신 종양, 만성간부전 등이 있는 경우 남성호르몬에서 여성호르몬으로의 체내 전환이 증가하여 생깁니다.
③ 약제: 고혈압 치료제, 위궤양 치료제, 심장병 치료제, 신경안정제, 에스트로겐, 전립선암 치료제, 이뇨제, 항암제, 결핵약, 무좀약, 마리화나, 헤로인 등 약에 의한 여성형 유방은 전체 여성형 유방의 10~20%를 차지합니다.
④ 병적 - 대사성(신부전, 간부전 등), 내분비(갑상선 항진증 등), 암(기관지암, 뇌하수체종양 등), 이 외 AIDS, 정신적 스트레스, 대상포진, 비만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환경호르몬이 그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증상
대부분 무증상이나 가슴 멍울 같은 것이 있으며, 유선조직이 실제 발육되어 있으므로 만져서 단단한 몽우리가 잡히는 경우가 많으며, 만질 때 통증을 동반하기도 하고, 심하면 유즙이 나오기도 합니다. 여성 유방증은 양측성인 경우가 75%이고 한쪽에만 생기기도 합니다. 여성형 유방은 지름이 5cm 이상으로 크게 발전하기도 하며, 4cm 이상 크면 자연치유는 거의 안됩니다.
- 진단
여성호르몬, 남성호르몬에 이상 소견이 없는지 검사를 하며 질병으로 인해 생긴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간 기능 검사, 신장 기능 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를 시행합니다. 고환 종양에 의한 여성형 유방이 의심될 경우 고환 초음파를 시행합니다. 유방의 종양이 의심될 경우는 유방 촬영술, 유방 초음파,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 치료
1) 약물 치료
남성호르몬이 부족해서 여성형 유방이 발생한 경우에는 남성호르몬 보충 요법을 시행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여성형 유방이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2) 수술 치료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고 미용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유선 제거술, 유방 축소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비만과 동반된 지방이 축적되어 생기는 가성 여성형 유방은 다이어트와 운동으로 좋아지기도 하며, 지방 흡인술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가슴의 지방은 다른 곳에 비하여 잘 빠지지 않으며, 빠지고 난 후에 가슴이 축 늘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선조직보다 지방조직이 발달된 형태의 여성형 유방은 강력한 지방흡인기를 사용하여 지방조직과 함께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선조직이 주로 발달된 상태는 유두유륜 주위를 절개하여 피부 밑으로 유선조직들을 제거하는 피하유방절제술을 시행합니다.https://youtu.be/Md2uAndV-kU 진단(동영상보기)
https://youtu.be/9vl_koH5qPA 수술(동영상보기)
'건강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절기에 좋은 건강차, 제대로 즐기기[서울아산병원 건강소식] 저자 : 윤수영 (0) | 2016.10.24 |
---|---|
허리통증, 잘 알고 관리하자[서울아산병원건강소식] (0) | 2016.10.24 |
오늘보다 건강한 내일 (서울대학교병원 가을호 소식) (0) | 2016.10.17 |
레이노병(Raynaud'S Phenomenon)(서울 아산병원 제공) (0) | 2016.10.10 |
밤의불청객 불면증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0) | 2016.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