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한 마리, 양 두 마리..
잠을 청하는 데 도움이 될까요?
양을 센다는 건,
잠을 자기 위해 노력하는 것 말고
다른 편안한 생각을 하라는 상징으로
잠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면을 저해하는 습관들
어떤 게 있을까요?
커피,녹차,홍차 등 카페인 음료,
30분 이상의 낮잠, 술, 담배,
불규칙적인 생활리듬 등이 있습니다.
수면제의 중독성, 의존성을
많은 분들이 걱정하는데?
수면장애, 정신장애, 신체장애 증상이
있을때만
효과가 있는 최소량으로
복용하셔야 됩니다.
수면제 복용, 치매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봤어요.
아직까지는 Yes or No가 불분명해요.
잊지 마셔야 할 건
불면증 치료는 수면습관 개선등
비약물치료도 중요하다는 사실
저는 주말에 잠을 몰아서 자요.
괜찮은 건가요?
수면건강의 왕도는 규칙적인 생활이에요.
잠을 몰아서 자면
리듬이 깨져서 더 피곤해요.
월요병 아시죠?
건강한 수면을 위해
침실에서 치워야 할 것이 있다면?
시계는 오히려 자야 한다는
불안감을 키울 수 있으니
치우시고
편안한 침대, 베개, 옷,적당한 온도에
투자하세요.
"잠을 줄이는 건
내 몸과 정신에 빚을 지는 것입니다.
언제가는 꼭 갚아야 하는 빚이지요.
신체적,정신적 성장과 회복을
담당하는 잠에 투자하는 것을
아까워 하지 마세요"
'건강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보다 건강한 내일 (서울대학교병원 가을호 소식) (0) | 2016.10.17 |
---|---|
레이노병(Raynaud'S Phenomenon)(서울 아산병원 제공) (0) | 2016.10.10 |
탈모의 계절 가을, 당신의 머리카락은 건강하세요? (0) | 2016.09.28 |
나들이 응급처치법과 함께하세요(서울대병원 소식) (0) | 2016.09.28 |
100세 시대 눈 건강, 조기 검진 중요한 황반변성 저자 : 김윤전 (0) | 2016.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