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고해소의 모습으로 기사 내용과는 무관. OSV
폴란드에서 18세 미만 아동 및 청소년에게 고해성사를 금지해달라는 국회 청원이 제기되자, 폴란드 교회와 정부가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비판했다.
교계 언론 더필라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20일 폴란드 하원의회에 이같은 청원서가 접수됐다. 행위 예술가 라팔 베틀레주스키가 주축이 돼 1만 2000명의 서명을 받았다. 청원은 11월 20일 의회 청원위원회에 정식 접수됐으며, 3개월 동안 의안 상정 등 별다른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자동 파기된다.
청원서에는 “폴란드 헌법은 아동의 권리 보호를 보장하며 어느 누구도 종교 의식에 참여하거나 참여하지 않도록 강요받을 수 없다”면서 “실제로 아동들은 고해성사에 참여하도록 강요받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폴란드 주교회의 의장 스타니스와프 곤데츠키(포츠난대교구장) 대주교는 “이 청원은 소련 스탈린 집권 시기 종교를 억압하려는 행위의 재현”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고해성사는 그리스도교 문화권에서 2000년 이상 존재해 온 것으로 갑자기 몇 사람이 어린이의 고해성사를 금지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바르샤바대교구장 아드리안 갈바스 대주교도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현 폴란드 정부도 반대 의사를 보였다.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아크 카미시 부총리는 이달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폴란드는 종교의 자유가 있는 나라이고 자녀를 어떻게 키울지는 부모가 결정해야 한다”면서 “헌법과 상식·문화에도 어긋나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전문가들은 고해성사가 금지될 경우 첫영성체도 금지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첫영성체 직전 처음으로 자신의 죄를 고백하게 되는데, 이 절차가 사라지면 세례를 받지 못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갑작스럽게 나온 이 청원이 입안될 경우 가톨릭 인구가 전체의 71%에 달하는 폴란드 특성상 강한 반발에 부딪힐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매체는 정책이 입안되면 교황청도 나설 것으로 예측했다.
폴란드 교회가 정부와 마찰을 빚자 교회를 흔들기 위한 움직임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2024년 폴란드 정부는 공립학교에서 시행되는 종교 수업 시수 축소 방침을 내놨는데, 교회와 정부 간 논쟁이 지속 중이다. 더불어 오는 5월 대통령 선거가 있어 민감한 의제를 꺼낸 것이라는 분석이다.
가톨릭 신자인 안제이 두다 대통령의 원소속은 야당(의회 소수당)인 ‘법과정의’이다.
이준태 기자 ouioui@cpbc.co.kr
'세계교회(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탈리아 ‘동성애 사제품 허용’ 오보 해프닝 (0) | 2025.01.31 |
---|---|
아시아 시노드 정신 확산 주도할 부서 만든다 (0) | 2025.01.31 |
교황, 가자지구 휴전 환영… ‘두 국가 평화 체제’ 구축 촉구 (0) | 2025.01.30 |
트럼프 비판 맥엘로이 추기경, 미국 워싱턴대교구장에 임명 (0) | 2025.01.21 |
전 세계 커뮤니케이션 종사자들, 24~26일 로마에서 희년 행사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