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사랑

"사랑의 신앙", " 믿음과 진리를 추구하며!" "믿음과 소망과 사랑중에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영성생활

호르몬 변화에 따라 감정·행동 달라집니다

참 빛 사랑 2025. 3. 27. 18:37
 
청소년들이 2024년 9월 9일 파푸아뉴기니 포트 모르즈비의 존 가이스 경기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을 환영하며 환호하고 있다. 성 호르몬은 청소년기 2차 성징이라는 성적 특성 발현에 기여한다. OSV

배란·월경 중심으로 호르몬 주기적 작용
자기 몸에 미치는 호르몬 영향 알면
객관적으로 감정 살피고 조절할 수 있어




제4장 몸, 사랑과 생명의 여정
전개 1. 몸 알기, 여성(2)


에스트라디올 호르몬은 적절한 배란이 일어나게 할 뿐만 아니라 배란기에는 자궁 수축을 증가시켜 정자의 운동을 촉진함으로써 임신에 도움을 줍니다. 이 밖에도 에스트라디올은 건강한 뼈 구조와 콜레스테롤 조절, 피부 윤택, 가슴 팽창과 머릿결이 좋아지는 등 신체에 변화를 가져옵니다. 그리고 이 호르몬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기분 상태와 관련된 물질인 세로토닌과 엔도르핀을 증가시키는 것에서 기인합니다. 외향성이 두드러지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충만하며 긍정적이고 포용적인 마음을 가지게 됩니다.

배란 뒤 황체기(배란 이후 다음 월경이 있기 전까지의 기간)에 난자를 둘러쌌던 난포는 황체(Yellow Body)로 남아 있게 됩니다. 성숙한 황체는 다량의 프로게스테론과 소량의 에스트로겐을 분비합니다. 황체에서 분비된 다량의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으로 자궁 내막은 두꺼워지고 혈액 유입이 많아지면서 임신을 위한 준비를 합니다. 만약 수정란이 자궁 내막에 착상되면 황체는 임신 동안 유지되면서 태아를 위한 적합한 환경을 만듭니다.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의 영향으로 여성은 몸속에 더 많은 액체를 보유하게 되고 기초 체온도 올라갑니다. ‘새로운 생명을 위한 호의, 임신을 위한 호의’라는 뜻을 지닌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의 활동으로 여성의 몸은 자연스럽게 생명을 위한 토양(자궁 내막의 두꺼워짐)과 물(수분 보유), 햇볕(기초 체온 상승)을 제공합니다. 대체로 이 시기에 여성들이 차분해지고 내면 지향적인 것도 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황체기는 보통 11~16일 정도이며 정상적인 황체기는 후기에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이 줄어들면서 여성의 다음 생리 주기에서 배란을 자연스럽게 유도합니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의 수치가 떨어지면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여성의 몸을 지배하는데, 이는 월경 전 3~4일 동안 나타납니다. 이 시기에 여성은 종종 내적으로 우울해지고 외적으로는 공격적 성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배란을 중심으로 생리 주기에 대한 인식이 생기고, 호르몬이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가는 것은 여성이 자기 몸을 제대로 느끼고 깨어 있도록 합니다.

주기적으로 작용하는 호르몬에 따른 감정의 변화, 그리고 반복성을 찾게 되면 감정을 객관적으로 살피고 조절할 수 있습니다. 몸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으로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 인식하는 것은 몸을 알아 가는 일이며, 몸으로 살아가는 일입니다. 그 과정을 통해서 여성은 자신감과 자긍심으로 자신의 몸을 진정으로 존중하게 됩니다. 자신에게 깨어 있을 때 다른 이와 건강하고 성숙한 관계를 이룰 수 있습니다.

전개 2. 몸 알기, 남성(1)

남성의 몸도 뇌의 시상 하부와 뇌하수체, 그리고 생식샘(고환)으로 이어지는 축의 상호 작용으로 성선의 기능이 조절될 때 청소년기에 들어섰음을 알리는 신호를 보냅니다. 여성의 몸에 영향을 주어 어머니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호르몬이 있듯이, 남성의 몸에도 영향을 미쳐 아버지가 되도록 하는 호르몬이 있습니다. 바로 안드로겐입니다. 정소 내 안드로겐 호르몬의 생합성은 정자 생성을 촉진합니다. 시상 하부와 뇌하수체, 라이디히 세포(고환 내 세포)의 협동적 기능은 가장 중요한 안드로겐인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의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태아의 생식기를 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은 청소년기 남성을 내면적으로 성숙하게 합니다. 이 내면적 성숙은 2차 성징이라는 남성의성적 특성이 발현되도록 합니다. 테스토스테론의 역할은 일생 동안 계속되며 남성의 행동과 기분에 영향을 줍니다. 성적 에너지를 일으키며 성욕뿐만 아니라 성적인 꿈과 환상에서 그 힘을 드러냅니다. 이 밖에도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적극성, 경쟁성과 가장 밀접한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자의 뇌는 이 호르몬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게다가 독립성을 갈망하도록 부추깁니다.

사람 몸에서 가장 작은 정원세포는 유사 분열과 감수 분열을 하면서 완벽한 정자로 성장합니다. 약 70일에 걸쳐 생성되는 정자는 지속적으로 생성되며, 일반적으로 남성은 평생 지속하는 생식 능력을 지닙니다. (전개 내용 다음 호에 계속)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