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염(Conjunctivitis)
- 정의
결막이란 눈(안구)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안구와 안검을 결합하는 점막조직으로, 안구결막, 안검결막, 원개결막, 윤부결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결막염이라고 합니다.
- 원인
결막염의 원인으로는 세균, 클라미디아, 바이러스, 리케챠, 진균, 기생충, 아토피, 화학제품, 자외선, 먼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원인에 따라 세균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결막염, 알러지성 결막염, 단순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클라미디아 결막염, 임질구균성 결막염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증상
원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개 약 1주일 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에 갑자기 눈이 가렵고 눈물이 나며, 충혈, 눈부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밖에도 안구 통증, 이물감, 발적, 부종, 눈곱 등이 나타나고, 타각증상으로는 충혈, 눈물흘림, 삼출물, 부종, 거짓눈꺼풀처짐, 결막 하 출혈, 유두비대, 여포, 거짓막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발병한 후 3~4일 고비로 증상이 심해지다가 점차 가라 앉기 시작하고, 대개 20일이면 급성 증상은 소실되며, 각막염은 시력에 장애를 주기도 하지만 수개월 또는 수년간 지속되다가 흔적 없이 치유되거나 또는 그대로 남아 있게 됩니다.- 진단
의사는 결막염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면 자세하게 문진을 하여 환자의 증상을 평가하며, 세극등현미경 검사, 배양검사 등 필요한 검사를 시행합니다. 세극등현미경 검사를 통해서는 환자의 충혈 정도와 부위, 분비물의 양상, 결막밑 출혈 여부, 결막의 유두비대, 여포 생성 및 가성막의 생성 여부, 각막염의 합병 여부 등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게 되고, 각막 플루레신 염색을 시행하여 각막상피 찰과상이나 궤양, 수지상 각막 질환의 유무를 확인하며, 염증이 심하거나 경험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결막염은 원인균 배양을 시행하여 균을 동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치료
[세균성 결막염]
• 각막 플루레신 염색을 시행 : 각막상피 찰과상이나 궤양, 수지상 각막 질환의 유무를 확인합니다.
• 점안 항생제를 1일 4회 5~7일 동안 사용합니다. 2개월 이상 소아에게는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콘택트렌즈 사용하지 않는 사람 : polytrim 또는 erythromycin을 하루 네번 5~7일 정도 점안합니다.
콘택트 렌즈 사용자 : fluoroquinolone(ciloxan 또는 ocuflox)나 aminoglycoside(tobrex)을 하루 네번 5~7일 정도 점안(for Pseudomonas)합니다.
설파제나 네오마이신 알러지 : polytrim(trimethoprim+polymyxin B)[바이러스성 결막염]
• 플루레신 염색을 시행하여 질환 유무를 확인 합니다.
• 차가운 수건으로 눌러 줍니다.• 결막 충혈 조절 : 나파콘 안약 하루 세번 또는 하루 네번 점안합니다.
• 세균성 결막염과 식별되지 않을 경우에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 각막 침범이 없을 경우에는 7~10일 후에 안과 추적 관찰합니다.[알러지성 결막염]
• 여러 가지 항원이 눈의 분비물, 충혈,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
• 차가운 수건으로 1일 4회 눌러 줍니다.
• 항히스타민, 항충혈 효과 안약 점안 : Patanol, Zaditor, Alocril 하루 두번 또는 Naphcon-A 하루 네번
• 인공누액을 자주 점안합니다.[신생아 결막염]
• 균 배양 검사 및 그람 염색을 합니다.
• 에리스로마이신 안약을 사용하고 세프트리악손을 전신 투여합니다.
• 전신 감염증 유무를 조사하고, 입원 치료가 필요할지를 소아과와 상의합니다.[임균 감염]
에리스로마이신 안약을 1일 4회 사용합니다.[단순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Viroptic oint 2시간 마다 점안, Acyclovir 전신 투여합니다.[클라미디아 결막염]
에리스로마이신 안약 및 경구 투여합니다.
'건강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피로(Chronic Fatigue Syndrome) 서울아산병원 건강소식 (0) | 2019.09.16 |
---|---|
서울아산병원 건강관리소식 (0) | 2019.09.02 |
성장 호르몬(서울아산병원 건강소식) (0) | 2019.07.01 |
서울아산병원 건강소식(식중독바로알기). (0) | 2019.06.17 |
서울 아산병원 건강소식: 비만(Obesity) (0) | 2019.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