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운동/정리운동,
유산소/근력/ 유연성 운동으로 구성한다.
1.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운동 시작 전, 운동 후 가볍게 걷거나 스트레칭을 5~10분 정도 시행하는 것으로 심장의 맥박수가
갑자기 증가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관절 가동 범위를 개선시키고 손상의 위험을 감소 시킬 수 있다.
![](http://amc.seoul.kr/asan/html/mail/dpt/heart/1804/images/img01.jpg)
2.
유산소운동 우리 몸에 많은 산소를 공급 할 수 있는 운동으로 심폐기능과 지구력을 길러준다. 심폐기능의 향상은 사망률
감소와 연관이 있으며 신체활동에 대한 생활습관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운동으로는 걷기, 가볍게 뛰기, 자전거 타기,
계단걷기, 등산, 수영 등이 있다.
3.
근력운동 심장질환과 연관되어 있는 대사증후군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며, 근골격계의 질환 발병률을 낮추고, 심폐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운동이다. 대표적으로 아령운동, 밴드운동, 기구운동 및 체중을 이용한 운동(스쿼트, 기마자세, 윗몸 일으키기 등)이
있다.
![24시간 보행 혈압측정기를 착용한 모습](http://amc.seoul.kr/asan/html/mail/dpt/heart/1804/images/img02.jpg)
4.
유연성운동 활동에 필요한 가동범위를 늘려 주어 일상생활이나 운동 중 상해를 입지 않도록 도와주는 운동으로 대표적인
운동으로는 정적/동적 스트레칭 등이 있다. |
1.
운동 하기 전 의료진과 상의 하거나 심장재활을 본인의 상태를 통해 파악 후 안전하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운동
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반드시 시행한다. 3. 숨을 참고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갑작스럽게 힘쓰는 동작은 혈압을 상승 시킬 수
있으므로 삼가
한다. 4. 미세먼지가 심한 날씨에 실외 운동은 피하며, 외출은 자제 하고, 몸의 상태가 좋지 않은 날에는 무리하게 운동하지
않는다. 5. 가슴통증, 호흡곤란이 있다면 즉시 운동을 중단한다. 6. 당뇨가 있다면 운동 중 나타나는 저혈당
증세(식은땀, 갈증, 어지러움 등)를 파악하고, 식후 1시간-2시간 사이에 운동을 진행하며 사탕을
소지한다. 7. 응급약물(니트로 글리세린 등)을 가지고 있다면 운동시 항상
소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