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에이크의 ‘아르놀피니의 언약식’. 출처=National gallery Technical Bulletin.
적외선을 통해 아르놀피니의 얼굴이 대대적으로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National gallery Technical Bulletin
1995년 영국 런던 내셔널 갤러리의 보존연구지에는 ‘겐트 제단화’와 함께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아르놀피니의 언약식’에 대한 적외선 조사결과가 발표되었다.
가장 관심을 끈 것은 아르놀피니 부부의 얼굴에 대한 수정 흔적이다. 특히 아르놀피니의 얼굴은 두 사람의 얼굴이 겹쳐 있는 모습이어서 마치 유령을 보는 것처럼 섬뜩한 느낌을 준다. 손과 발의 위치도 여러 번 수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적외선 리프렉토그램이라는 과학조사장비를 통해 밝혀졌다. 원리는 적외선이 두껍지 않은 물감층이나 바니스층을 투과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그림에 적외선을 비추면 물감층을 투과하여 그 밑에 있는 드로잉의 재료로 사용된 연필이나 검정 물감이 흡수하게 되고, 이것을 특수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와 같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대중이 명작에서 이러한 수정 흔적을 보는 것은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지만 보존 전문가나 미술사가에게도 작가의 기법과 최초의 의도를 연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조사 결과를 보면 반 에이크처럼 당대 최고의 화가도 실수로 작품을 수정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 플랑드르 유화 기법을 이해한다면 주인공의 얼굴을 바꾸는 이러한 중대한 실수에는 의문이 남는다. 당시 반 에이크가 구사한 유화 기법은 완벽하게 드로잉을 한 후 색을 올리는 방식이다.
이는 유화의 바로 전 단계인 템페라의 제작 방식이기도 하다. 달걀의 노른자 등을 안료와 섞어 그리는 템페라의 가장 큰 약점은 혼색이나 덧칠을 하면 탁해지고 지저분해진다는 것이다. 때문에 템페라 화가들은 수련 단계부터 세심하고 정확한 드로잉을 한 후에 물감을 실수 없이 칠하도록 철저하게 교육받았다. 반 에이크도 이를 충분히 습득하였다. 유화는 여러 번 덧그려도 그림의 느낌이 달라지지 않지만 템페라 기법에 익숙했던 작가들은 정확한 드로잉에 의거한 그림을 그렸던 것이다.
그런데 반 에이크가 주인공 얼굴을 대대적으로 수정한 것을 보면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혹 다른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상상해 본다. 옷차림만 봐도 대단한 지위와 부를 가진 주인공이 혹 수정을 요청한 것은 아닐까? 아르놀피니의 모습을 보면 가뜩이나 어깨는 좁고 얼굴이 몸에 비해 큰 데다 원래 드로잉에는 심한 매부리코에 눈도 이마 쪽으로 몰려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 에이크는 이를 충실히 담아냈으나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는 전적으로 그림을 주문한 사람의 몫. 화가의 지위라는 것이 재주 많은 장인으로 취급받던 시절이라 얼굴을 수정해달라는 화주의 요청을 감히 거역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영성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음과 사랑 속에 그리스도인의 참삶을 살아야 (0) | 2024.10.24 |
---|---|
자신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장 탁월한 선택은 ‘책 읽기 (0) | 2024.10.24 |
루르드 성모, 죄인들 회개 위한 기도 당부 (0) | 2024.10.23 |
일부 이슬람국가에서 여성 히잡 착용 의무화 (0) | 2024.10.23 |
[금주의 성인] 성녀 마리아 베르틸라 보스카르딘 (10월 20일) (0) | 2024.10.23 |